Minecraft screenshot with moon setting in y=-59
생명과학II
DNA 복제
코돈
집단유전
제한효소
24학년도 수능 생명과학II 킬러들을 풀어보자
2023-12-28, 14:34 | HoonKun
24학년도 수능 생명과학II 킬러들을 풀어보자

2023년에 시행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생명과학 II 과목 킬러 문제들을 풀어보자.

서론

이번에도 돌아온 수능 타임이다.
매년 돌아오는 연례행사이자 숙제같은 무언가. 올해도 해보려고 한다.

다만, 이번에는 누구 씨의 발언으로 난이도가 꽤 있었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지도 한 번 살펴보자.
그대신 이번에는 문제 별로 별도 게시글을 쓰는 대신 하나의 게시글에 퉁쳐서 적으려고 한다.

그리고, 이번에는 지면 상의 이유(?) 로 문제 스크린샷이 없다.
ebsi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니 그것을 같이 참고하자.

14번: DNA 복제

복제의 주형으로부터 새로 합성된 선도 DNA 가닥을 하나 주되 기호로 구멍 몇 개를 뚫고, 프라이머와 관련된 단서 몇 개를 줬다.
대략 아래의 과정을 통해 풀게 된다:

  1. 마지막 조건을 통해 ㉠ 과 ㉡ 의 정체를 각각 밝힌다.
  2. 세 번째 조건을 통해 ㉯가 먼저 합성되었는지, ㉰가 먼저 합성되었는지를 밝힌다.
  3. 보기를 본다!

이제 각각을 보자.

㉠ 과 ㉡ 의 정체

마지막 조건에서, ㉯와 ㉰의 구성 염기를 다 합해 C/G 가 1/2 이라고 했다.
이 때, 비율 산정에 U가 관여하지 않았으므로 바로 ㉮ 에서 C/G 가 2/1 이라고 봐도 무관하다.
만약 ㉠ 가 G 라면 ㉮ 에서 G 의 수가 9 이므로 비율을 만족시키는 정수 해가 없다.
따라서 ㉠ 는 C이고 ㉡ 이 G이다.

선도가닥과 지연가닥

프라이머 X~Z 는 4개의 염기로 구성된다.
㉮가 선도가닥이라고 밝혔으므로, 바로 주어진 가닥 ㉮의 5'쪽 4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조각이 프라이머 X가 된다.
여기서, Z 가 X 와 상보적이므로 Z 의 서열은 5'-GGCG-3' 가 된다.
그리고, Z를 포함하는 가닥은 ㉮ 와 상보적이므로, Z의 위치를 찾으려면 ㉮에서 5'-CGCC-3' 를 찾으면 된다.
해당 서열은 주어진 ㉮의 서열 3' 말단 쪽 4개의 염기 서열과 일치하므로, 주어진 서열을 절반으로 나누었을 때 오른쪽이 ㉰ 이고 왼쪽이 ㉯ 이다.
즉, ㉯ 가 먼저 합성되었다.

보기

  • ㉯가 먼저 합성되었으므로 틀린 보기이다. (X)
  • Y의 서열은 왼쪽 서열의 5' 말단 쪽 4개의 염기이므로, 5'-CGCC-3' 가 된다. 이는 X의 서열과 일치한다. (O)
  • 염기 수를 세면 된다. 6/8 이므로 3/4가 맞다. (O)

프라이머가 언급되었지만 정말 다행히도 U를 사용하여 변수를 만들지 않았다.

16번: 제한 효소

제한 효소 세 종류를 주고, 그 중 두 종류를 사용하여 잘랐을 때 생성된 염기 수를 주었다(몇 개를 기호로 뚫었지만).
대략 아래의 과정을 통해 풀게 된다:

  1. 시험관 I, II, IV 를 통해 ㉠, ㉡, ㉢ 의 일부를 밝힌다.
  2. III 에서 생성된 DNA 조각 수를 단서로 모든 염기 서열을 밝히고, III에서 생성된 각 DNA 조각의 염기 수를 밝힌다.
  3. 보기를 본다!

이제 각각을 보자.

Bgl II? Kpn I?

일단, 제한효소들의 인식 위치를 보면 염기 서열이 같다. 즉, 방향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BglII 의 위쪽도 5'-AGATCT-3' 이고 아래쪽도 같은 서열이다.

이 점을 숙지하고, 마저 살펴보자.
시험관 II에서, Kpn I 를 넣고 잘랐을 때 30, 38개의 염기로 구성된 조각들이 나왔으므로, 주어진 서열에서 15번째가 잘렸거나 19번째가 잘렸을 것이다.
즉, 아래 두 상황 중 하나일 것이다.

5'-AAC____A__________TAC__________GAC-3'

위에서 | 로 표시한 위치를 중심으로 Kpn I 의 인식범위가 존재하는지 확인해보자.
일단 두 번째 상황도, 세 번째 상황도 현재까지 주어진 단서로는 성립 가능하다.
즉, 둘 다 해보고 모순을 찾아야한다.

  • 첫 번째 경우가 맞다면?
    시험관 IV 에서 Bgl II 및 Kpn I 를 사용해 잘랐을 때 12, 18, 18, 20 개의 조각이 나왔으므로, 절반으로 나눴을 때 각각 6, 9, 9, 10개의 염기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6 + 9 와 9 + 10 이 각각 15, 19 이므로 II 에서 생긴 DNA 조각의 염기 수 조합과 일치한다.
    즉 Bgl II 에 의해 왼쪽에서 6 / 9 개로 다시 잘렸고, 오른쪽에서 9 / 10 개로 다시 잘렸다는 뜻이다.
    5'-AAC____A__________TAC__________GAC-3'
    오른쪽은 당장 확인이 안되지만, 왼쪽은 바로 확인이 된다.
    Bgl II 에서 4번째나 2번째 염기는 C 이거나 G 이지 A가 아니다.
    즉, 이 경우는 틀린 경우이고 두 번째 경우가 맞는 경우이다.

이제 맞는 경우를 다시 보고, Kpn I 의 서열을 참고해 채울 수 있는 염기를 채운 뒤, Bgl II 에 의해 왼쪽에서 9 / 10 개로 다시 잘렸고 6 / 9 개로 잘렸다고 상정하자.

5'-AAC____A________GGTACC_________GAC-3'

이 때, Bgl II 의 두 번째 염기가 G 이므로 왼쪽은 9 - 10 이 아닌 10 - 9 로 잘렸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왼쪽이 10 - 9 로 잘렸을 때 가장 왼쪽 조각은 20개의 염기로 구성된다. 그런데 시험관 I 에서 12개 짜리 조각이 있다고 했으므로, 오른쪽은 6 - 9 가 아닌 9 - 6 으로 잘렸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잘린 곳을 확정하고 염기를 채우면 아래와 같아진다:

5'-AAC____AGATCT___GGTACC___AGATCTGAC-3'

Xho I!

이제 시험관 III 을 보자. 총 4개의 조각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면 위의 서열을 보고 4개가 나오려면 어떻게 서열이 구성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자.

5'-AACCTCGAGATCTCGAGGTACCTCGAGATCTGAC-3'

다 찾았다! 이제 보기를 보자.

  • ㉠ 의 5' 말단 염기는 C 가 맞다. (O)
  • ⓐ 와 ⓑ 는 각각 20 과 36이다. 20개 짜리 조각은 가장 왼쪽의 조각이므로, 아래의 조각이다:
    5'-AACCTCGA    -3'
    3'-TTGGAGCTCTAG-5'
    따라서 A는 5개가 맞다.
  • III 에서 생성되는 각 DNA 조각의 염기 수는 12, 16, 20, 20 이다. 18개 짜리는 없다.

개인적으로 제한 효소 문제는 쥐약이다. 매 번 새롭게 어렵다.

17번: 코돈

드디어 대망의 코돈이다.
염기 서열 두 조각을 주고 어떤 순서인지 알려주지 않았으며, 조각 하나는 말단이랑 서열 일부까지 가려놨다.
거기에 아미노산 서열도 안주고 그냥 몇 개인지랑 뭐뭐를 포함하는지만 줬다.

그냥 딱 봐도 보스 냄새가 풀풀 난다.
일단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풀게 된다:

  1. ⓐ 와 (가) 에 가능한 가짓수를 전부 시도해 맞는 것 하나를 찾는다. 이 과정에서 ㉠ 을 제외한 염기서열이 나온다.
  2. ㉠의 서열로 가능한 것을 나열한 뒤 맞는 것 하나를 찾는다. 이 과정에서 전체 염기서열이 밝혀진다.
  3. Y의 돌연변이를 만들어본다.
  4. 보기를 본다.

이제 하나하나 해보자.

이게 다 몇 가지야 미친

실질, ⓐ가 5' 인 경우와 3' 인 경우, (가) 가 I 인 경우와 II 인 경우 각각 4가지가 나온다.
다만 빠르게 쳐낼 수 있는 가짓수가 있다. 마저 살펴보자.

우선, 주어진 가닥이 전사의 주형이 된 가닥이므로, 개시코돈을 구성하는 5'-CAT-3' 를 찾는다.
I에서는 끝에서 3-6 번째 정도가 보이는데, 아래의 흐름을 따른다:

  • 이게 진짜 개시코돈이라는 전제 하에, I가 (가) 라면 8개의 아미노산을 만들기 위한 염기 수가 부족하다. 즉 I는 (나)이다.
  • 이것이 진짜 개시코돈이라면 제시된 대로 8개의 아미노산을 만들고 종결코돈이 나와야한다.
    이 경우를 따라보면 I에서는 5개의 아미노산이 나오고, 즉 II 에서 3개의 아미노산을 만들고 종결코돈이 나와야한다.
    그런데 ⓐ 가 5' 인 경우도, 3' 인 경우도 4번째 코돈이 AGU 이거나 UC_ 이므로 종결코돈이 아니다.

따라서 이건 진짜 개시코돈이 아니다.
즉, I에는 유효한 개시코돈이 없으므로 (가)여야 한다. 그래야 (나) 에 있는 개시코돈으로 시작하여 8개의 아미노산을 만들 수 있다.

이제 ⓐ를 보자. 여기에 진짜 개시코돈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I에 유효한 종결코돈이 있을 것이므로, 그것을 먼저 찾아보자. TTA, CTA, TCA 중 하나를 찾는다.
CTATCA 가 각각 하나씩 있다. 각각을 종결코돈이라고 가정하고 8개의 아미노산을 만들어보자.

  • CTA 의 경우 I 에서 4개의 아미노산이 만들어지고 1개의 염기가 남는다.
    • ⓐ 가 5' 이라면, 개시코돈이 존재하지만 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 ⓐ 가 3' 이라면, 개시코돈을 찾지 못한다.
  • TCA 의 경우 I 에서 2개의 아미노산이 만들어지고 2개의 염기가 남는다.
    • ⓐ 가 5' 이라면, ㉠의 오른쪽 3개의 염기가 개시코돈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남은 ㉠을 어떻게 채워도 세린 1개와 아스파트산 1개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즉, ⓐ 는 3' 이고, I는 (가) 이다. 아직 ㉠은 모른다.

이게 맞냐?

위에서 찾은 내용으로 염기서열은 완성하면 아래와 같다:

3'-CTTACGACTAG_____ATGCGTACGCACTGCATCGC-5'

이 상태에서 아미노산 서열을 만들어보자.

Met - Leu - Iso - ? - ? - Tre - His - Ala

세린 및 아스파트산이 없다. 즉 저 물음표 두 개가 각각 세린 및 아스파트산이라는 의미가 된다.
두 번째 물음표를 구성하는 코돈의 마지막 염기가 U이므로 그것을 숙지하고 가능한 코돈의 염기서열을 나열해보자.

  • GAUAG U (퓨린 4 피리미딘 1)
  • GACAG U (퓨린 4 피리미딘 1)
  • GAUUC U (퓨린 2 피리미딘 3)
  • GACUC U (퓨린 2 피리미딘 3)
  • UC(A/G)GA U

이 때 ㉠ 은 3개의 피리미딘 염기와 2개의 퓨린 계열 염기로 구성되는데, 코돈과 트리플렛코드는 서로 상보적이므로 위의 다섯 가지 중 피리미딘 계열 염기 2개 및 퓨린 계열 염기 3개로 이루어진 것을 찾아야 한다.
그런데 위의 네 가지는 모두 만족하지 않는다. 즉 마지막 경우가 맞는 경우이다.

Y 를 만들자

우선 현재까지 정해진 염기 서열은 아래와 같다:

3'-CTTACGACTAGAG(C/T)CTATGCGTACGCACTGCATCGC-5'

Y는 X 에서 연속되는 두 개의 염기가 결실된다.
그런데, 위의 서열에서 두 개의 연속되는 염기는 [2-3] 염기와, 아직 불확실한 부분의 CC 뿐이다.
그러나 [2-3] 염기가 결실되면 개시코돈이 제거되기 때문에 불확실한 마지막 염기가 C 가 되고 Y에서는 CC 가 결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결실시키면 아래처럼 된다:

3'-CTTACGACTAGAGTATGCGTACGCACTGCATCGC-5'

보기를 보자

  • ⓐ 는 3' 말단이다 (X)
  • X 의 세린을 암호화하는 코돈은 5'-UCG-3' 으로, 3' 말단 염기는 G가 맞다.
  • Y의 다섯 번째 아미노산은 UAC 코돈으로 생성되는 Tyr 이다.

모순을 찾는 방식이 기존과 많이 다르다. 기존에는 단계별로 명확하게 맞다고 상정할 수 있는 경우가 찾아져서 운 좋으면 빠르게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었는데, 이 문제는 나머지 아닌 경우를 모두 쳐내고 남은 하나를 찾아야 했다.

20번: 집단유전

수학 II 문제다.

두 집단 II, IIII 모두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이 유지된다고 제시했으며, 개체 수에 미지수 NN(자연수) 을 사용하여 제시했다.
그리고 두 형질 (가) 와 (나) 가 서로 다른 염색체에 있으며당연한 소리를! AAaa, BBbb 각각 우열관계가 분명하다고 제시했다.

대략 다음 과정을 통해 풀게 된다:

  1. 네번째 조건으로부터 IIIIII 에서 AAaa 의 빈도, IIII에서 BBbb 의 빈도를 구한다.
  2. 다섯번째 조건으로부터 II에서 BBbb 의 빈도를 구한다.
  3. 마지막 조건으로부터 IIIIII의 개체 수가 각각 2N2N, 3N3N 중 어느 것인지를 밝힌다.
  4. 문제가 묻는 II에서 (나)가 발현된 개체 수를 구한다.

이제 각각을 살펴보자.

이게 수학 II지 뭐야

'AA를 가진 개체들을 합해서 구한 aa의 빈도' 를, AA의 빈도를 pp라고 하고 aa의 빈도를 1p1 - p 라고 했을 때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아진다:

2p(1p)2(p2+2p(1p))=2p2p24p2p2 =1p2p\begin{equation*} \begin{aligned} \frac{2p(1-p)}{2(p^2 + 2p(1-p))} &= \frac{2p - 2p^2}{4p - 2p^2}\\[1em]\ &= \frac{1 - p}{2 - p} \end{aligned} \end{equation*}

위의 식의 값이 II에서 38\frac{3}{8} 이고 IIII 에서 49\frac{4}{9} 이므로, 각각을 계산해보자.

1p2p=38 88p=63p,  5p=2 p=25,  q=1p=35      1p2p=49 99p=84p,  5p=1 p=15,  q=1p=45\hbox{$ \begin{equation*} \begin{split} \frac{1 - p}{2 - p} &= \frac{3}{8}\\[1em]\ 8 - 8p &= 6 - 3p,\space\space 5p = 2\\[1em]\ \therefore p &= \frac{2}{5},\space\space q = 1 - p = \frac{3}{5} \end{split} \end{equation*} $} \space\space\space\space\space\space \hbox{$ \begin{equation*} \begin{split} \frac{1 - p}{2 - p} &= \frac{4}{9}\\[1em]\ 9 - 9p &= 8 - 4p,\space\space 5p = 1\\[1em]\ \therefore p &= \frac{1}{5},\space\space q = 1 - p = \frac{4}{5} \end{split} \end{equation*} $}

즉, II에서 AAaa의 빈도가 각각 25\frac{2}{5}35\frac{3}{5} 이고, IIII에서 AAaa의 빈도가 각각 15\frac{1}{5}45\frac{4}{5} 이다.
그리고 II 에서 AA 의 빈도와 IIII에서 BB의 빈도가 같다고 했으므로 IIII에서 BB, bb 의 빈도도 각각 25\frac{2}{5}35\frac{3}{5} 이다.

수포자의 무덤

다섯 번째 조건에 제시된 왼쪽 분수를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아진다.
단, 분모와 분자가 모두 같은 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둘 모두에 개체 수가 포함되어있으므로 개체수는 약분하여 나타내지 않았다.

2p(1p)+(1p)2p2+2p(1p)=2p2p2+12p+p2p2+2p2p2 =1p22pp2=715  1515p2=14p7p2 8p2+14p15=0 (2p+5)(4p3)=0 p=34,  q=1p=14\begin{equation*} \begin{split} \frac{2p(1-p) + (1-p)^2}{p^2 + 2p(1-p)} &= \frac{2p - 2p^2 + 1 - 2p + p^2}{p^2 + 2p - 2p^2}\\[1em]\ &= \frac{1 - p^2}{2p - p^2} = \frac{7}{15}\\[1em]\ \\[1em]\ 15 - 15p^2 &= 14p - 7p^2\\[1em]\ 8p^2 + 14p - 15 &= 0\\[1em]\ (2p + 5)(4p - 3) &= 0\\[1em]\ \therefore p &= \frac{3}{4},\space\space q = 1 - p = \frac{1}{4} \end{split} \end{equation*}

즉, II 에서 BB의 빈도는 34\frac{3}{4} 이고, bb 의 빈도는 14\frac{1}{4}이다.

함정카아드 발동!!

이제 마지막 조건을 보자.
II에서 AA의 빈도와 IIII 에서 BB의 빈도가 같다고 했는데, 각각이 발현된 개체 수 비가 2:32 : 3(혹은 3:23 : 2)이 아니다.
즉, 형질 (가) 와 (나) 중 하나는 열성 동형 접합일 때만 발현하는 형질이라는 의미가 된다.

다시말하면 A>aA > a 이고 B>bB > b 라고 주어진 상황에서 A 와 a, B 와 b 중 어느 것이 형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인지 모른다는 의미가 된다.
즉 아래 네 가지 중 맞는 것 하나를 찾아야한다.

  1. aa가 형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이고, II의 개체 수가 2N2N 이다.
  2. aa가 형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이고, II의 개체 수가 3N3N 이다.
  3. bb가 형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이고, II의 개체 수가 2N2N 이다.
  4. bb가 형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이고, II의 개체 수가 3N3N 이다.

그럼 각각을 모두 살펴보자.

2aI23(BII2+2BIIbII)=29253(425+1225) =1848=38  (1) 2(AI2+2AIIaII)3bII2=2(425+1225)3925 =3227  (2)        3aI22(BII2+2BIIbII)=39252(425+1225) =2732  (3) 3(AI2+2AIIaII)2bII2=3(425+1225)2925 =4818=83  (4)\hbox{$ \begin{equation*} \begin{split} \frac{2 * a_{I}^2}{3 * (B_{II}^2 + 2B_{II}b_{II})} &= \frac{2 * \frac{9}{25}}{3 * (\frac{4}{25} + \frac{12}{25})}\\[1em]\ &= \frac{18}{48} = \frac{3}{8}\space\space(\text{1})\\[1em]\ \frac{2 * (A_{I}^2 + 2A_{II}a_{II})}{3 * b_{II}^2} &= \frac{2 * (\frac{4}{25} + \frac{12}{25})}{3 * \frac{9}{25}}\\[1em]\ &= \frac{32}{27}\space\space(\text{2}) \end{split} \end{equation*} $} \space\space\space\space\space\space\space\space \hbox{$ \begin{equation*} \begin{split} \frac{3 * a_{I}^2}{2 * (B_{II}^2 + 2B_{II}b_{II})} &= \frac{3 * \frac{9}{25}}{2 * (\frac{4}{25} + \frac{12}{25})}\\[1em]\ &= \frac{27}{32}\space\space(\text{3})\\[1em]\ \frac{3 * (A_{I}^2 + 2A_{II}a_{II})}{2 * b_{II}^2} &= \frac{3 * (\frac{4}{25} + \frac{12}{25})}{2 * \frac{9}{25}}\\[1em]\ &= \frac{48}{18} = \frac{8}{3}\space\space(\text{4}) \end{split} \end{equation*} $}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1번 뿐이다. 따라서, II 의 개체 수가 2N2N 이고, IIII 의 개체 수가 3N3N 이다.
또, (가)는 열성 형질이고, (나)는 우성 형질이다.

해치웠나?

II 에서 (나)가 발현된 개체 수를 구하자.
(나)는 우성 형질이고 II 에서 BB, bb 의 빈도는 각각 34\frac{3}{4}, 14\frac{1}{4} 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다:

(BI2+2BIbI)2N=(916+616)2N =158N\begin{equation*} \begin{split} (B_{I}^2 + 2B_{I}b_{I}) * 2N &= (\frac{9}{16} + \frac{6}{16}) * 2N\\[1em]\ &= \frac{15}{8}N \end{split} \end{equation*}

정말 다행히도 이번에는 누구끼리 교배해서 ~~할 확률을 묻지는 않았다.
여기서 교배 후 자손의 확률 까지 물었으면...

후기

언제나 그렇지만 어렵다. 이걸 어떻게 30분만에 다 풀지...?
이번에는 비 킬러들도 누구 씨의 발언 덕분에 힘이 들어갔다는 말이 있던데... 무섭다.

키위새의 아무말 저장소
  • 개발
  • 마인크래프트
  • 생명과학II
  • 아무말
Blog Logo